46 읽음
편의점 김밥, 나트륨 폭탄? 소비자 건강 적신호
우먼컨슈머
0
경기 침체 속에서 소비자들은 점점 더 저렴한 한 끼를 찾고 있다. 그 대안으로 급부상한 것이 바로 편의점 김밥이다. 하지만 값싼 가격에 비해 소비자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 조사에 따르면, 편의점 김밥의 나트륨 함량이 WHO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이 많아, 소비자들의 나트륨 과다 섭취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편의점 김밥은 정말 안전한 선택일까? 소비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의점 김밥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김밥류의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김밥의 나트륨 함량이 소비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에서 각각 4개의 김밥을 선정해 조사한 결과, 총 16개 제품 중 12개가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2000mg)의 절반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S25의 ‘더블치즈김밥’은 1691mg으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높은 나트륨 함량을 기록했다. 이어 세븐일레븐의 ‘더 꽉찬 직화불고기 김밥’(1590mg), CU의 ‘떡볶이맛참치김밥’(1300mg) 등이 뒤를 이었다.

편의점 줄김밥 나트륨 함량 현황

2025년 1월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4년 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21.01로 전년 대비 3.6% 상승했으며, 김밥 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4년간 32.63% 급등해 외식 품목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물가 상승의 원인은 김밥 재료 가격 급등과 인건비 상승에 있다. 2025년 1월 23일 한국농수산식품공사(aT)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은 평년 대비 52.5% 상승했으며, 김밥 속재료인 당근(1kg)과 시금치(100g) 가격도 각각 79.6%, 44.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편의점 김밥으로 소비자들이 몰리면서, 편의점 김밥류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GS25의 김밥류(줄김밥+삼각김밥) 매출은 2022년 40.7%, 2023년 37.6%, 2024년 9월 누적 24.4% 증가했다. CU 또한 김밥류 매출이 2022년 18.2%, 2023년 28.6%, 2024년 9월 누적 23.3% 증가했다.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 역시 김밥류 매출 증가세를 보이며, Fresh Food(FF) 상품군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점심시간대(11~13시) 판매량에서 김밥이 31.4%로 1위를 차지했으며, 삼각김밥(28.1%)을 포함하면 59.5%로 간편식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HO에 따르면, 나트륨 섭취량이 소금 기준 6g씩 증가할 때마다 관상동맥 심장질환 사망률이 56%,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36%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골다공증, 비만, 고혈압 등의 질병을 유발할 위험이 높아진다.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나트륨 밀도가 높은 식단을 섭취하는 경우 어린이·청소년의 비만 위험이 1.8배, 성인은 1.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이마트24의 ‘단호박샐러드김밥’은 716mg으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낮은 나트륨 함량을 보였다. 세븐일레븐 또한 저속노화 간편식을 출시하는 등 건강을 고려한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소비자들의 건강 보호를 위해 편의점들이 기존 김밥 제품의 나트륨 함량을 낮추고, 저나트륨 건강 간편식을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소비자들 또한 제품 구매 시 나트륨 함량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우먼컨슈머 = 임기준 기자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