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읽음
상반기 국제선 승객 ‘역대 최대’ 4600만명 돌파… 中·日 노선이 견인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공항을 이용한 국제선 여객 수가 4600만명을 넘어서며,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6일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가 집계한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내 공항에서 출발·도착한 국제선 이용객은 총 4602만984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4277만여명)보다 7.6%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기록(4556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같은 기간 국제선 항공편 운항은 26만4253편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고 2019년(26만3681편) 수준도 웃돌았다.
국가별로는 중국 노선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한중 노선을 이용한 승객은 781만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52만명(24.3%) 늘었다. 이는 작년 11월 한국인에 대한 비자 면제 조치가 시행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올 3분기 중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해 일시적인 비자 면제를 추진할 예정이어서, 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노선도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일본행 국제선 이용객은 1343만여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0만명(9.9%) 증가했다. 장기간 이어진 엔저 기조와 함께, 항공사들이 일본 지방 노선을 확대한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장거리 노선 수요도 회복세를 나타냈다. 미주 노선은 332만여명(7.8%), 유럽은 225만여명(3%), 중동 노선은 53만여명(5.2%)으로 집계됐다.
공항별로는 인천공항이 전체 국제선의 약 78%를 차지해 3611만여명이 이용했고, 나머지 6개 지방공항(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양양)은 총 991만여명이 국제선 항공편을 이용했다.
지방공항 가운데선 김해공항이 492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김포(213만명), 제주(134만명), 청주(78만명), 대구(71만명) 순이었다. 반면 양양공항은 지난해 6963명에서 올해 6007명으로 줄어 13.7%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19만여명이 이용했던 무안공항은 지난해 말 발생한 여객기 사고로 운영이 중단되면서 올해 상반기에는 이용객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