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34 읽음
염원을 담은 석조물의 전당 우리옛돌박물관 [양태오의 박물관 기행]

예로부터 돌조각은 쉽게 변하지 않기에 시공을 초월해 존재하는 성물로 여겨졌다. 수복강녕을 기원하는 선인들의 마음을 담은 돌 조각들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 탄생한 우리옛돌박물관을 찾았다.


위치 서울시 성북구 대사관로13길 66(성북동)
정기 휴관일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관람료 성인 7000원, 청소년 5000원, 아동 3000원
문의 02-986-1001
디자이너 양태오가 우리옛돌박물관을 찾은 이유

다양한 지역과 문화권에서 모아온 석조물들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뮤지엄. 수호신 조각들이 반겨주는 입구에 서면 새로운 세계에 들어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박물관 실내에서 시작해 실외로 이어지는 전시는 자연 속을 거닐며 유물을 감상하는 일을 힐링으로 만들어준다.




박물관에서 만나게 되는 석물들은 주로 문인석, 무인석, 동자석, 벅수(돌로 제작한 장승) 등이다. 문인석, 무인석, 동자석 등은 무덤을 수호하기 위해 봉분 앞에 한 쌍씩 세워둔다. 벅수는 쉽게 훼손되는 목장승과 달리 영원성을 특별히 인정받았다. 옛사람들은 마을 입구에 벅수를 세워두면 역신이나 잡귀들이 겁을 먹고 마을로 들어오지 못한다고 믿었다고.

우리나라의 돌은 주로 화강암으로, 딱딱해서 조각하기가 어렵다. 서양의 무른 대리석 조각처럼 화려한 디테일을 기대할 수 없지만 물성이 주는 매력을 느낄 수 있다는 게 양태오 디자이너의 의견. 질감과 형태, 사이즈를 살려서 조각한 석조물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전한다고.

한국의 아름다움을 동시대적으로 풀어내고 있는 태오양 스튜디오의 대표이자 디자이너 양태오. 파이돈 출판사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디자이너 10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된 그는 최근 박물관과 상업 공간 등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특유의 공간 미학을 펼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