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읽음
무려 6년 만에 개체수 증가…사람들 환호 폭발한 멸종위기 한국 고유종 '정체'

금개구리의 모습 1.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국립생태원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금개구리를 방사한 지 6년 만에 개체 수가 약 1.5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서식지 관리와 장기 추적 관찰을 병행한 결과다.
이에 국립생태원은 충남 서천군 국립생태원 수생식물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금개구리의 복원 성공을 기념하는 행사를 23일 오후 개최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환경부에 따르면 국립생태원은 지난 2019년 충남 서천군 수생식물원 일대에 금개구리 600마리를 방사하고 체계적으로 서식지 관리를 해 왔다. 최근 진행된 조사에서는 해당 지역에 약 920마리가 안정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복원 사례를 멸종위기종 생태복원의 모범 사례로 평가하고 향후 다른 지역으로의 확대 적용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금개구리 서식지 확장을 위한 후속 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금개구리 등은 주변 환경에 따라 녹색, 황녹색, 갈색 또는 짙은 갈색 등 색이 다양하다. 가장 큰 특징은 눈 뒤에서부터 등의 양쪽 가장자리에 있는 두 줄의 뚜렷한 금색 선이다.
금개구리는 참개구리와 비슷한 점이 많지만 번식기, 구애 음성, 거의 물에서 떠나지 않는 습성 등이 다르다. 금개구리가 사는 지역에 참개구리도 함께 살고 있어 생태적으로 두 종은 경쟁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